본문 바로가기

단상(斷想) /약함의 신학

주님 나를 부를 때 신대원에서 중창으로 불렀던 이 영상을 가끔 듣는다. 급조된 조직이라 부족한 실력이지만 힘과 용기를 선사한다. 가끔 앞이 안보이고 절망스런 마음이 드는 날, 동료들과 함께 불렀던 이 노래를 듣는다. 성공회 성가 403장, "주님 나를 부를 때..." 주님 나를 부를 때 나 주를 따르리 나는 그 길 가리라 낯설고 험해도 주의 사랑 알리고 주의 이름 전하리 나는 우리 주님과 늘 함께 하리라 주님 나를 부를 때 내 이웃 섬기리 세상속에 갇힌 자 주 알게 하리라 약한 사람 돌보는 참된 친구 되리라 주님 말씀 가운데 늘 함께 하리라 주님 나를 부를 때 나 마음 먹으리 모든 걱정 두려움 다 떨쳐 버리고 세상 변화 시키는 굳센 믿음 갖겠네 몸과 마음 다하여 나 헌신하리라 더보기
선교형 교회 세미나에 다녀오다. '선교형 교회'(Mission Shaped Church), 혹은 '교회의 새로운 표현'(Fresh Expression)에 대한 관심이 개신교에서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영국성공회에서 이미 시작된 새로운 교회에 대한 일련의 실험들은 대한성공회에서도 몇 년 전부터 소개되고 실천되고 있다. 결국은 새로운 시대, 세대에 대한 교회론의 새로운 정립이다. 실천신학적으로 좀더 들어가보면 공공신학, 즉 교회의 공공성과 조우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주제인지라 기차를 타고 서울대성당에 올라갔다왔다. 대전교구 오동균 신부님이 기조발제를 하셨다. 타 교단에서도 관심을 갖고 찾아오셨다. 오신부님의 주제는 '한국상황에서 본 Fresh Expression의 의미'다. 두 번째 발제는 'Fresh Expression의 입장에.. 더보기
기념비에 대한 생각 100주년을 넘긴 성당에 기념물을 세운다면 두 가지를 하고 싶다. 하나는 예산교회에 첫 부임지로 오셔서 6.25동란때 순교하신 조용호 신부님의 추모비와 2017년에 폐원된 신명유치원 기념비와 기념 식수를 심는 것이다. 역사가 주는 교훈은 그 역사를 오롯이 기억하는 자들의 특권이다. 용산역 일본인 강제징용 노동자들을 위로하는 추모비 더보기
토마토가 열렸네 5일장에서 사온 토마토 모종 텃밭을 만들어 심고 나서 신명텃밭이라 일컬었다. 몇 일 사이에 토마토에 드디어 열매가 달렸다. 오 신기방기~ 씨앗에 우주가 들어있다. "눈물을 흘리며 씨뿌리는 자, 기뻐하며 거두어들이리라." 넌 뭐니?? 더보기
오랜 친구 2018. 05. 17 예당저수지 산길 혼자 걷다보면 사람 그리울 때 있다 해지는 강변 쭈구려 앉아 물살에 마음 실어보냈던 날도 있었다 혹은 불면의 밤이나 바람이 불어 부유하던 청춘의 날 나는 너를 결핍이라 말했다 한때는 숲에도 산새가 깃들고 차가운 강물도 생명을 품고 흐른다 말했다 긴 부정의 세월 이제야 너를 있는 그대로 바라다본다 고독, 나의 오랜 친구여 더보기
삼순이의 성수 큰 아이 기저귀 삶던 삼순이 여러 번 이사에 버릴법도 하건만 베란다 선반은 항상 너의 집이었다. 이곳에 빨래 대신 그릇을 넣고 베이킹파우더를 뿌리면 묵은 기름때들이 하나 둘 허물어지고 벗겨져버린다. 때묵은 내죄도 네게 바치면 요단강의 세례처럼 깨끗해질 수 있을까새로 산듯 반짝이는 스뎅 냄비들 매주 반복되는 죄의 고백 삶은 항상 검게 그을리거나 얼룩져있다. 더보기
순교자(복자)를 기념하는 기억의 넓이 사진으로만 볼 수 있는 그의 존재, 예산은 그의 첫 부임지였다. 1943년 4월 일제에 의해 예산교회는 폐쇄되고 유치원은 몰수된다. 그는 예산을 떠나 인천으로 갔다. 인천성당에 머물면서도 늘 예산교회가 마음에 걸렸나보다. 예산교회 출신으로서 성공회 사제가 된 유명희 사제에 의하면 "조 신부는 예산교회를 떠나 인천성당에 있으면서 예산교회 소식을 들으니, 당시 예산교회의 부지가 꽤 컸는데 일본인 군수가 교회 부지 일부까지 군수 사택을 지을 계획을 하고 있다는 심상영 사모의 말씀에 몇 일을 고민하다가 내려갔다와야겠다고 하며 비장한 다짐과 함께 예산에 내려와 군수와 담판을 지어 당시 교회 부지를 그대로 지킬 수 있었다."고 심상영 사모의 전언을 들었다고 한다. 그 강직한 신앙은 결국 6.25 동란때 피난을 가지.. 더보기
설령 아무도 기억하지 않을지라도... 배밭을 매다가 고개를 드니 멀리 임존성이 구름에 쌓여있다. 멸망한 왕조와 승산없는 미래, 그들은 그곳에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승자의 역사만이 강조되고 패자의 역사는 은폐된다. 허나 역사의 긴 흐름에선 영원한 것은 없다. . 성공이나 실패도 찰나의 시간일뿐. 예산성당의 100년의 기록은 패자의 역사일까? 교회는 종말의 시간을 살아가는 가시적 모임이며 소멸을 향해가는 운명론적 공동체다. 실패의 역사라도 찾아내고 기억하는 일, 굳이 부흥을 꿈꾸지 못할지라도 이곳을 서성거리는 것은 천년이 하루같은 그분의 시간안에 있기 때문이다. 멀리 백제 부흥운동의 슬픈 역사, 임존성이 말한다. "설령 아무도 기억하지 않을지라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