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월 광주 , 그 야만과 희망의 교차점에서 5.18이 다가오고 있다. 1980년대 만큼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정에서 희망과 절망이 엇갈린 해가 있었을까 1979년 박정희가 피살되고 많은 사람들은 바로 민주주의가 실현되리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그래서 1980년을 '서울의 봄'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 해 봄을 넘기기도 못하고 이 나라는 다시 겨울공화국으로 되돌아가고 말았다. 광주는 바로 그 희망과 야만이 교차하는 자리에 놓여 있었다. 우리는 1980년 5월 18일 부터 27일까지 광주와 그 주변지역에서 벌어진 야만과 양심의 싸움을 광주민중항쟁, 광주민주화운동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1980년 5월의 광주에게 민중항쟁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기까지 20여년을 싸워야했다. 1980년 죽음속으로, 어둠속으로 해방광주는 사라졌지만 불사조처럼 살아 우리앞에 .. 더보기
예산군의 문화관광지들 예산의 관광지와 유적지 책자이다. 예산은 수덕사, 덕산온천, 추사고택 정도가 일반인들에게 알려져있다. 적혀진 목차에 근거해서 차근차근 이곳들을 답사해야겠다. 더보기
"기어코 이루어질지어다." 최근 판문점 회의를 통한 남북간의 화해의 분위기로 통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문득 사진 한장과 아름다운 기사글이 떠올랐다. 이 사진은 기자의 요청의 의해 38선을 배경으로 아들과 수행비서와 함께 촬영된 사진이다. 김구선생은 1948년 남북지도자 연석회의를 참여하기 위해 평양으로 떠났다. 해방공간의 어지러운 상황에서 분단만은 막아보려 했던 민족주의자들은 하나 둘 사라져갔다. 김구 선생의 방북행을 보도한 기자의 글은 아름다운 시에 가까운 처연함이 스며있다. “혁명가 김구씨는 기어코 38선을 넘었다. 때는 6시 45분. 너웃너웃 저물어가는 황혼 속에 한발 한발 넘어서면 멀리 바라다 보이는 곳이여. 역 정거장 녹슨 철로 위로 오지도 않는 기차를 기다리는 [시그널]의 붉은 등불이 눈물 속에 아롱거린다.….. 더보기
2018/05/11 구 예산군청에 행복주택이 건설됩니다. 새로 이전한 예산군청이 바로 옆인데 구 예산군청을 행복주택을 짓고 있나 봅니다. 우리 성당 바로 뒷편인데... 젊은 사람들을 위한 행복주택이라고 합니다. 청년들을 위한 매우 좋은 정책이라 생각합니다. 성당 역시 청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지하게 구상해야겠습니다. 군청옆에서 우리 성당이 보이나 살펴봤더니 제일감리교회 십자가만 보이네요. 작지만 아담하고 정겨운 우리 성당, 뒷편 금오산은 오랜 세월 성당의 변천사를 지켜보았겠지요. 군청에서 올라가는 신작로입니다. 신청사 뒷편 공무원 아파트가 보입니다. 작지 않은 아파트 단지입니다. 우리 성당에서는 걸어서 5분? 옆에는 통일교 가정교회가 있습니다. 안식교회가 바로 옆에 붙어있습니다. 교파는 다르지만 이웃들이니 친하게 지내야겠습니다. 더보기
예산 대흥슬로시티의 마을 풍경 저의 인턴십 장소인 예산군 대흥면의 슬로시티입니다. 마을 전경을 올려봅니다. 주차장에서 차를 대고 조금 올라오면 버섯지붕모양의 방문자센터가 보입니다. 제가 풀을 뽑아서 화단이 조금 깨끗해졌네요.^^ 공방에서 만든 나무화분들 근무지는 여기지만 바깥 일을 해서 거의 없을 듯... 시골이라 무시하지 마라 농협도 있고, 옆에 하나로마트도 있네요. 100년 전통의 대흥초등학교 학교가 아름답습니다. 저도 이곳으로 전학가고 싶어요. 우체국도 있어요. 오전만 문을 엽니다. 이곳은 의좋은 형제 마을로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저 석상 글씨는 신영복 선생님이 쓰셨다는데 어떻게 쓰시게 된건지는 모르겠네요. 제가 점심을 얻어먹으러 가는 달팽이 미술관입니다. 아담하고 예쁩니다. 방문자센터에 피어난 매발톱 꽃 왼쪽 책상이 저의 책상.. 더보기
2018/05/10 '고기가 필요해' 성당이 점점 깨끗해지니 오가는 사람들이 자꾸 물어본다. "이제 유치원 다시 하는 감?" "교회에 이사 오셨어요?" 신학생이라고 계속 얘기하는데도 신부님이라고 계속 부르는 분도 있다. 아무튼 사람이 산다는 것을 알려야겠다. 그래서 잘 보이는 곳에 채소를 키우기로 했다. 턴십 퇴근길에 5일장에서 모종들, 너희들을 심어보자꾸나. 5일장에서 산 모종들 퇴비는 슬로우시티 협찬품. 치커리 상추, 꽃상추, 가지, 토마토, 쑥갓, 그리고 이름 모르는 먹는 풀 풀이 돋아난 공간이 예산텃밭이다. 텃밭 이름을 지어줘야겠다. 땅을 갈아엎고 퇴비를 섞어서 다시 비벼주었다. 허리가...ㅠㅠ 약간의 간격으로 심어나갔다. 아무 생각없이... 드디어 다 심었다. ㅎㅎ 근데 토마토와 가지 간격이... 아무래도 의심스럽다. 이곳을 '신명.. 더보기
사람과 사람 사이 나무와 나무 사이에도 간격이 필요하다. 촘촘히 심어진 나무들은 정상적으로 자라기 힘들다. 적당한 간격이 어디 나무뿐이랴, . 서울살이에서 힘든 건 빈틈없이 지어진 건물들과 어깨를 스치듯 지나가는 수없는 인파였다. 사람과 사람사이에도 거리가 필요하다. 연인사이에도, 부부 사이에도 부모와 자식 사이에도 관계맺는 모든 것에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가끔은 토라져 돌아 앉아야 할 거리, 외로우면 다시 찾을 만한 그 만큼의 거리 별의 아름다운건, 밤 하늘 캔버스의 담을 만큼의 거리 때문일까? 더보기
헌금과 예수 어떤 교단은 십일조를 안하면 교인 권리도 박탈한다지. 교회도 먹고 살아야 하니 헌금이 필요하겠지. 헌금기도에 복 타령은 필수요소, 감사봉투 하나면 족한 것을무슨 복을 그리 받으라고 항목을 만들었을까 목덜미로 스며드는 초 겨울 바람 마냥 숨을 조여오는 노동의 현실이 빠듯한 세상 마음 가난한 자 복이 있다던데 돈 없으면 예수조차 뵐 수 없는가 샌들과 외투하나, 온 들판이 성소(聖所)이자 교실이었던 길 위에 선 유랑자 예수 "모든 것이 주께로 말미암았사오니, 우리가 주의 손에서 받은 것으로 주께 드렸을 뿐이니이다." (역대기상 29: 1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