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in 19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성공회 신문 934호 '예산교회 재기를 위한 문화 활동' 예산교회가 지역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난 1월 15일 지역주민들과 커피향이 은은하게 감도는 작은 공간에서 영화(‘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함께 시청하고 감상평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영화모임은 신명유치원의 이름을 따서 ‘신명극장’이라고 짓고, 한 달에 한 번씩 지역 청년들과 함께 숨겨진 좋은 영화를 감상하기로 했다. 또한 매주 ‘마르코의 책방’이라는 신앙독서모임도 7개월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으며, 올해는 일반인을 위한 독서모임도 진행할 예정이다. 1917년에 마가성당으로 축성되어 올해로 102주년을 맞는 예산교회는 2017년 신자수의 감소로 잠정 폐쇄가 결정되었다. 또한 부설로 운영되던 예산군내 최초의 유치원이었던 신명유치원의 90년 역사도 마감되어 안타까운 지역사로 남게 되었.. 더보기 유치원 사무실 셀프 리모델링 시작 유치원 사무실로 사용하던 공간을 모임방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성당은 겨울 동안 모임장소로 사용하기에는 크기도 하고 난방비도 많이 들어갑니다. 나중에 전체적인 리모델링을 해야겠지만 당장 임시방편으로라도 꾸미는 게 좋을 것 같아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완성되면 아마 봄이 되지 않을까...^^ 일단 천정 페인트하고 등기구를 새로 달았는데 너무 밝네요. ㅜㅜ 타공 블라인드를 새로 설치했는데 썩 맘에 들진 않지만 나름 괜찮네요. 결국 등기구를 분위기 있는 무드등으로 교체했습니다. 선택을 잘한 것 같네요. 아늑하고 포근한 분위기를 만들어줍니다.^^ 더보기 예산교회 전도사로 발령을 받다. 2019년 2월 24일 교구 인사발령에 의해 심규용 안토니오를 예산교회 전도사로 발령하였습니다. 공식 부임날짜는 2.17일입니다. 성공회 예산교회가 폐쇄 2년만에 다시 공식적으로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하느님께 감사합니다. 더보기 2018/12/11 1층 보일러를 수리하다. 그동안 2층 사제관에서 지냈습니다. 2층 사제관은 가건물로 지어졌는지라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습니다. 올해 초 극심한 한파로 보일러가 동파되었습니다. 이곳을 수리하자니 어차피 철거를 해야할 건물인지라 돈 들이는 게 아깝더군요. 그래서 1층의 구 사제관의 보일러를 손을 보았습니다. 가동안한지 좀 되었지만 다행히 이곳은 지난 추위에 동파되지 않았더군요. 지난 주에 기름을 두 드럼을 넣고 시험운행을 하였고 오늘은 보일러 기사를 불러 녹슨 밸브를 교체하였습니다. 이제 보일러가 온수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한 겨울을 잘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느님께 감사합니다. 더보기 2018/12/10 다이소표 성탄장식 어릴적 교회의 성탄 트리를 장식하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에는 인조 트리장식 나무가 없었기에 산에 가서 사철나무를 베어와 장식하곤 했습니다. 지금처럼 산에서 나무를 함부로 베다간 큰 일날 일이지만 옛날에는 다들 그랬습니다. 다이소에서 성탄장식 용품을 몇 개 샀습니다. 가렌더장식도 사고 예산교회니까 사과 장식도 두개 샀습니다. 모임 탁자에 놓을 솔방울 장식의 대림환도 샀습니다. 4주 동안 각 주에 맞는 초를 하나씩 꽃을 생각입니다. 성탄 트리는 다행히도 작지만 두 개가 있어서 그것으로 장식을 했습니다. 하나는 성당안에, 조금 큰 것은 외부에 놓을 생각입니다. 소박하지만 성당에 트리가 밝히는 불빛에 동네가 조금은 따뜻해지지 않을까요?^^ 더보기 2018/12/06 홍동 '밝맑도서관'을 가다 예산에서 가까운 홍성군의 홍동 밝맑도서관을 다녀왔습니다. 풀무학교와 연관성이 깊은 마을도서관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 내리는 저녁에 도착했는지라 구석구석 둘러보지는 못했습니다. 특히 이곳에 어린이 도서관을 살펴보고 싶었는데 밤이라 볼수가 없었네요. 이 날은 정혜신 선생님의 북콘서트가 열리는 날이었습니다. 그래서 사진을 몇 장 담아보았습니다. 아마도 정기적으로 강연들이 이루어지는 것 같습니다. 지역에서 마을운동을 하는 일련의 시도들을 보노라면 마음이 푸근해지면서도 마을을 살리고자 하는 그 노력에 마음이 짠해집니다. 도서관의 설립 취지와 운영에 대해서는 다음에 방문해서 꼼꼼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더보기 2018/12/06 '대림절과 소소한 성탄 준비' 지난 주 대림초만 덩그러니 있는게 안타까웠는지 김마리아님이 대림환을 만들어 성당에 두고 가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시들고 지는 꽃이 사치스러운 것 같아 제단 꽃꼿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올해 성당 주변의 꽃을 꺽어다 봉헌을 하다보니 쓸쓸한 제대에 생명이 감도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제대의 바쳐진 꽃들은 사랑(?)하기로 했습니다. 이제 겨울이라 주변의 야생화는 더이상 없는 지라 꽃집에서 꽃을 대신할 만한 것들을 사서 꾸며보았습니다. 부모님이 쓰셨던 말통에 꽃아 보았는데 역시 뭔가 어색하군요. ㅎ 원래 미술에 천부적인 재능이 없기는 한데 그림이나 설치미술이나 매 일반이네요. 그리고 크리스마스용 접시를 삿습니다. 12월에는 이 접시에 간식을 담아야겠습니다. 다음 주에는 다이소표 크리스마스 가렌더를 찾아봐.. 더보기 "성공회 예산교회, 문화공간 되나" 밤마다 불이 켜진다는 주민 제보에 취재를 해가신 기자님이 기사를 올려주셨습니다. 덕택에 신명유치원 출신이거나 자모이셨던 분들이 연락들을 해오시네요. 인구절벽, 고령화, 지방공동화, 지방소멸이란 단어가 심심찮게 들려옵니다. 대도시로, 신도시로 하나 둘 떠나는 이때에 다시 돌아오는 것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것이 오래된 역사의 보존이나, 기억의 복원이란 차원을 넘어서 가장 마지막까지 지역을 돌봐야 할 존재가 교회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것이 농촌과 탄광촌을 향해 나아갔던 성공회의 선교정신이기도 하니까요. - 무한정보신문 기사성공회예산교회, 문화공간 되나신학대학원생들 “주민과 함께한 100년 역사 살리자” 잠정폐쇄 1년… 마을미술관·카페·작은도서관 계획http://www.yesm.kr/news/article..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4 다음